커피 이야기/SCA 자격증

커피, 원두의 종류/커피의 가공 방법/에스프레소

na.mingz 2023. 6. 10. 17:06
728x90

 

 

오늘의 커피 (하이커머셜 or 커머셜)
 
- 첫 맛 : 탄 향의 쓴 맛 나면서 신맛이 났다.
- 중간, 끝 맛 : 아몬드류의 고소한 맛과 향이 입에 계속 남아있다.
 
- 점수 : 8점 / 10점
- comment
물이 많이 들어간 듯한 연한 느낌이 나서 좋았다.
장작이 탈 때 느낄 수 있는 쓴 향이 나서 좋았다.
커피 특유의 쓴 맛을 좋아하는데, 처음에 마셨을 때 쓴 맛이 나서 마음에 들었다.
 
>> 느낀 점
: 맛의 표현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해야겠다.
알고 있는 음식의 맛을 이용하여 다음에 읽을 때도 "아, 이 맛이었지" 할 수 있는 표현들을 생각해봐야겠다.
 
- 쌤의 점수 : 5점 / 10점
- comment
취향에 따라서 점수 편차가 클 수 있으나, 객관적인 점수가 중요하다. (calibration : 맛의 객관화)
딱 그냥 보통의 커피라는 말씀이다.
 


커피의 종류
 
1) 스페셜 티 (SCAA 80점 이상)
신맛과 다채로운 맛을 가진다.
 
2) 프리미엄 (마이크로랏)
마이크로랏 : 세부 지역만 신경써서 제배한 원두를 사용한다.
 
3) 하이커머셜
 
4) 커머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상업용 커피이다.
 
5) 로우 커머셜
풋내 (완두콩, 볏짚, 비릿한 콩 향 등) 가 난다.
 


좋은 커피란?
: 꽃 향 (플로럴), 꿀 향이 나며, 과일의 향(블루베리, 망고 등)이 나는 것
 
그 다음으로 좋은 커피는 견과류(땅콩, 헤이즐넛, 호두 등) 향이 나는 커피이다.
 
 
원두의 종류
 
1) 아라비카
브라질, 에디오피아 등 고지대에서 생산한다.
향미가 다채로우며, 고가이다. 브라질의 원두가 그나마 가장 구수한 맛이 많이 나서 저렴한 편이다.
 
2) 로부스타
콩고, 베트남 등 저지대에서 생산한다.
구수한 맛이 나며, 강한 쓴 맛이 난다.
 


커피의 가공
 
1) 내추럴 (건식법)
장점 : 단 맛이 나며, 바디감이 무겁다.
단점 : 발효취가 난다.
 
2) 워시드 (습식법)
장점 : 신 맛이 나며, 클린컵을 가지고 있다. (깔끔한 맛)
단점 : 과육 제거 시 다량의 물을 이용하기 때문에 환경오염이 일어날 수 있다.
 
3) 펄프드 내추럴
내추럴과 워시드의 중간.
물 사용이 적고 발효취가 적다.
 
3-1) 허니 프로세싱
블랙 허니 : 과육을 벗겨낸 정도 10~20%
레드 허니 : 과육을 벗겨낸 정도 20~40%
옐로우 허니 : 과육을 벗겨낸 정도 50% 이상
화이트 허니 : 과육을 벗겨낸 정도 90% 이상
 
4) 언에어로빅 프로세싱 (무산소 공법)
딸기 요거뜨, 춘장 등의 향이 강하다.
가향을 입히는 경우도 있다.
 


에스프레소
: 영어로는 익스프레스, 한글로는 빠르고 신속하게 내리는 음료라는 뜻
 
1) 리스트레또
20초 미만 추출하여 바디감이 무겁다.
맛 : 처음에는 쓴 맛이 나며 뒤로 갈수록 신 맛이 난다. 엄청 진한 맛이 나며, 바디감이 굉장히 무겁다.
 
2) 에스프레소
20~30초 추출하여 바디감이 중간 정도이다.
맛 : 리스트레또보다 가벼운 맛이 나며, 신맛이 난다.
 
3) 룽고
30초 이상 추출하여 바디감이 가볍다.
맛 : 물이 많이 들어간 느낌이 나며, 바디감이 가볍다. 쓴 맛이 난다.
 


샷 내리기
 
1) 도징
 
2) 레벨링
 
3) 탬핑
 
 
채널링 이펙트 (편류현상)
: 크랙으로 인하여 샷이 한 쪽으로만 나오는 현상
 
 
추출 시간 비교

레벨링만 한 경우 : 41.00초
탬핑까지 한 경우 : 42.10초
 
Q. 시간적 차이가 크게 나지 않는 이유는?
A. 탬핑은 몸으로 누르는 것이기 때문에 1기압으로 누르는 힘이다.
하지만 기계는 9기압이기 때문에 1기압이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Q. 시간적 차이가 별로 없는데, 탬핑까지 하는 이유는?
A. 레벨링한 분말의 수평을 맞춰주기 위해 탬핑을 한다.
있는 힘껏 누를 필요가 없으며, 더 이상 눌러지지 않을 정도로만 탬핑을 하면 된다.
 

728x90

'커피 이야기 > SCA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쇄도/추출/스팀  (0) 2023.06.11
SCA 바리스타 초급 과정 (2)  (0) 2023.06.10
SCA 바리스타 초급 과정 (1)  (1) 2023.06.03
SCA 바리스타 초급 과정 수강신청  (0) 2023.05.11
SCA 국제 자격증  (1) 2023.05.05